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비밀번호 재설정 API
- Json 객체
- JPQL
- 값 타입
- 우분투
- 페이징 정렬
- git 충돌 해결
- github 복제
- HttpServletResponse
- 자바
- springboot
- JDBC
- 스프링부트 OpenAI API
- 저장소 복제
- 프로그래머스
- 서버 배포
- 파이썬
- Chat GPT
- 저장소 이전
- Git
- MySQL
- Servlet
- jar빌드
- swap 메모리
- JPA
- 넘파이
- 스프링 이메일 전송
- MVC
- api 개발
- 두수의 합 자바
Archives
- Today
- Total
현의 개발 블로그
EC2 인스턴스 생성 및 접속하기 본문
EC2 생성
EC2 인스턴스를 생성해보자
우분투를 선택하였다.
AMI는 프리티어 중에서 선택하였다.
인스턴스 유형은 따로 건들지 않았다.
키 페어는 인스턴스를 연결할 때 필요하다
새로운 키페어를 생성하자
키 페어 이름만 입력하고, 나머지 설정은 건들지 않았다.
키페어 생성을 누르면 내가 지정한 이름의 키페어가 다운로드 된다.
폴더를 생성하여 키페어를 저장하고, 경로를 기억하자.
명령 프롬프트에서 해당 경로로 이동해 EC2 서버를 시작한다.
새 보안그룹을 생성해주자
스토리지는 50GB로 설정하였다.
보안그룹 편집하기
보안그룹의 인바운드 규칙을 편집해주자.
연습이므로 소스를 Anywhere로 설정하였다.
EC2 서버 접속하기
이제 인스턴스 연결을 해보자
인스턴스를 선택하고 연결을 누르면 ssh 키를 알 수 있다.
ssh -i "testpwd.pem" ubuntu@ec2-54-180-24-33.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 를 복사한다.
아까 저장한 .pem 확장자 파일의 상위 폴더 이동한다.
chmod 400 [키 이름.pem]을 입력한다. 파일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그 후 복사한 명령어를 넣어주면 EC2 서버가 실행된다.
다음 글에서 RDS DB를 생성할 것이다
RDS 생성하기
현의 개발 블로그 RDS 생성하기 본문
hyun-keepdeving.tistory.com
'대외활동 > 한이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D 설계하기 (0) | 2023.05.24 |
---|---|
초기 프로젝트 깃허브에 올리기 (1) | 2023.05.16 |
RDS와 MySQL, SpringBoot 연결하기 (0) | 2023.05.15 |
RDS 생성하기 (0) | 2023.05.15 |
한이음 진행상황 (0) | 2023.05.1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