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의 개발 블로그

git의 상태 및 파일 생성 본문

git의 상태 및 파일 생성

hyun2371 2023. 6. 7. 20:28

git의 3가지 영역

  • working directory
    • git init으로 git이 관리하도록 지정한 디렉터리이다.
    • 생성 및 수정한 파일이 저장되는 곳이다.
  • staging area
    • git add 후 commit 될 준비가 된 파일들이다.
  • repository
    • commit후 버전을 관리하는 파일들이 위치한 영역이다.

 

git add . 

git working directory 내에 있는 파일을 staging area로 보낸다.

 

git commit -m ""

메세지를 남겨 git 저장소에 staging 파일을 저장한다.

 

git의 3가지 상태

git 상태는 modified, staged, committed로 분류된다.

파일의 변경 사항들을 버전별로 관리할 수 있다.

 

 

  •  Modified
    • 수정한 파일을 로컬 데이터 베이스에 commit 하지 않은 상태이다.
    • working directory 영역에 있는 파일들 중 수정한 파일은 해당 상태를 가진다.
  • Staged
    • 수정한 파일을 commit 할 것이라고 표시한 상태이다.
    • staging area 영역에 파일들이 존재한다.
  • Comitted
    • staged 상태의 파일들이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안전하게 저장된 상태이다.
    • commit 된 파일을 수정하면 modified 상태가 된다.

 

 

파일의 상태 라이프 사이클

파일의 라이프 사이클을 살펴보자

 

  • untracked
  • tracked
    • unmodified
    • modified
    • staged

 

untracked는 working directory에 존재하지만, git이 관리하지 않는 파일이다.

tracked 상태의 파일만 git이 관리한다. 

 

working directory에 파일을 새롭게 만들고, git status 명령을 실행하면 'untracked files 파일 이름' 문구가 뜬다.

https://kimvampa.tistory.com/124

 

 

git 상태 확인 명령어

git status

staged 파일의 상태를 확인한다.

 

 

git diff

commit된 파일 중 변경된 사항을 비교한다.

 

 

git log

.git repository에 존재하는 history를 확인한다.

아래의 옵션을 명령어 뒤에 추가할 수 있다.

 

  • -n : 상위 n개 커밋을 보여준다
  • -stat: 어떤 파일이 commit에서 수정되고 변경되었는지 확인
  • -pretty=oneline: 각 commit을 한줄로 출력한다.
  • -graph: commit 간의 연결된 관계를 아스키 그래프로 출력

 

 


Reference

한이음 git 교육

https://kimvampa.tistory.com/124

''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에서 gitlab으로 저장소 이전하기  (0) 2023.06.07
깃 원격 저장소  (0) 2023.06.07
git branch  (0) 2023.06.07
깃 저장소 생성 및 사용자 정보 설정  (0) 2023.06.07
깃 커밋 메세지 수정하기  (0) 2023.05.2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