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우분투
- JPQL
- 서버 배포
- JDBC
- github 복제
- 두수의 합 자바
- 스프링 이메일 전송
- MVC
- 비밀번호 재설정 API
- 저장소 복제
- 스프링부트 OpenAI API
- springboot
- 프로그래머스
- 저장소 이전
- 자바
- JPA
- Git
- 페이징 정렬
- MySQL
- git 충돌 해결
- 파이썬
- Servlet
- swap 메모리
- 넘파이
- HttpServletResponse
- Chat GPT
- 값 타입
- Json 객체
- jar빌드
- api 개발
Archives
- Today
- Total
현의 개발 블로그
git의 상태 및 파일 생성 본문
git의 3가지 영역
- working directory
- git init으로 git이 관리하도록 지정한 디렉터리이다.
- 생성 및 수정한 파일이 저장되는 곳이다.
- staging area
- git add 후 commit 될 준비가 된 파일들이다.
- repository
- commit후 버전을 관리하는 파일들이 위치한 영역이다.
git add .
git working directory 내에 있는 파일을 staging area로 보낸다.
git commit -m ""
메세지를 남겨 git 저장소에 staging 파일을 저장한다.
git의 3가지 상태
git 상태는 modified, staged, committed로 분류된다.
파일의 변경 사항들을 버전별로 관리할 수 있다.
- Modified
- 수정한 파일을 로컬 데이터 베이스에 commit 하지 않은 상태이다.
- working directory 영역에 있는 파일들 중 수정한 파일은 해당 상태를 가진다.
- Staged
- 수정한 파일을 commit 할 것이라고 표시한 상태이다.
- staging area 영역에 파일들이 존재한다.
- Comitted
- staged 상태의 파일들이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안전하게 저장된 상태이다.
- commit 된 파일을 수정하면 modified 상태가 된다.
파일의 상태 라이프 사이클
파일의 라이프 사이클을 살펴보자
- untracked
- tracked
- unmodified
- modified
- staged
untracked는 working directory에 존재하지만, git이 관리하지 않는 파일이다.
tracked 상태의 파일만 git이 관리한다.
working directory에 파일을 새롭게 만들고, git status 명령을 실행하면 'untracked files 파일 이름' 문구가 뜬다.
git 상태 확인 명령어
git status
staged 파일의 상태를 확인한다.
git diff
commit된 파일 중 변경된 사항을 비교한다.
git log
.git repository에 존재하는 history를 확인한다.
아래의 옵션을 명령어 뒤에 추가할 수 있다.
- -n : 상위 n개 커밋을 보여준다
- -stat: 어떤 파일이 commit에서 수정되고 변경되었는지 확인
- -pretty=oneline: 각 commit을 한줄로 출력한다.
- -graph: commit 간의 연결된 관계를 아스키 그래프로 출력
Reference
한이음 git 교육
'깃'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에서 gitlab으로 저장소 이전하기 (0) | 2023.06.07 |
---|---|
깃 원격 저장소 (0) | 2023.06.07 |
git branch (0) | 2023.06.07 |
깃 저장소 생성 및 사용자 정보 설정 (0) | 2023.06.07 |
깃 커밋 메세지 수정하기 (0) | 2023.05.26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