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의 개발 블로그

우분투에서 서버 배포(1) - 프로그램 설치, git clone 본문

대외활동/한이음

우분투에서 서버 배포(1) - 프로그램 설치, git clone

hyun2371 2023. 7. 16. 17:56

 

프로그램 설치

업데이트 하기

프로그램 설치를 위해 먼저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sudo apt-get update

 

깃 설치

git --version으로 설치 여부를 확인 가능하다.

sudo apt-get install git

해당 EC2서버는 내린 상태여서 ip주소 나와도 괜찮다.

 

자바 설치

sudo apt-get install openjdk-11-jdk

 

mySQL 설치

RDS를 사용한다면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git 클론

클론하기

깃허브에 있는 프로젝트를 서버에 배포하는 것이므로 클론해준다.

기존에 있던 폴더를 삭제하고 다시 클론 받고 싶으면 rm -rf [폴더이름] 으로 삭제해주자.

 

gitignore 파일 추가하기

application.yml을 gitignore에 추가해놓았기 때문에 클론 받은 폴더에 해당 파일이 없다.

따라서 application.yml을 직접 추가해준다.

(vim으로 파일을 생성 -> i로 편집 -> 코드 붙여넣기 -> :wq로 저장 후 나가기)

 

 

다음 글에서는 빌드 및 실행을 하기에 앞서 swap 메모리를 할당할 것이다.

 

우분투에서 서버 배포(2) - swap 메모리 할당

빌드 실행 도중 메모리가 부족해 멈출 수 있으므로 swap 메모리를 할당한다. 인스턴스 메모리가 충분하다면 할당하지 않아도 된다. swap 메모리 적정 값은 어떻게 될까 인스턴스 메모리 크기가 2GB 

hyun-keepdeving.tistory.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