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의 개발 블로그

우분투에서 서버 배포(3) - 빌드 및 실행 본문

대외활동/한이음

우분투에서 서버 배포(3) - 빌드 및 실행

hyun2371 2023. 7. 16. 18:27

 

이전 글에 이어서 서버 배포 방법을 설명하겠다.

 

우분투에서 서버 배포(1) - 프로그램 설치, git clone

프로그램 설치 업데이트 하기 프로그램 설치를 위해 먼저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sudo apt-get update 깃 설치 git --version으로 설치 여부를 확인 가능하다. sudo apt-get install git 자바 설치 sudo apt-get install 

hyun-keepdeving.tistory.com

 

우분투에서 서버 배포(2) - swap 메모리 할당

빌드 실행 도중 메모리가 부족해 멈출 수 있으므로 swap 메모리를 할당한다. 인스턴스 메모리가 충분하다면 할당하지 않아도 된다. swap 메모리 적정 값은 어떻게 될까 인스턴스 메모리 크기가 2GB

hyun-keepdeving.tistory.com

 

 

빌드하기

두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한다.

 

//전체 파일 빌드
./gradlew build

//테스트 파일 제외하고 빌드
./gradlew build -x test

 

처음 빌드할 때는 시간이 걸린다.

해당 EC2 서버는 종료했다.

 

build 폴더가 생성되고, build/libs안에 jar 파일이 존재한다.

jar 파일은 개발한 코드를 뭉쳐 놓은 아티팩트이다.

 

 

Background 에서 실행하기

background 동작 명령어는 nohup [명령어] & 이다.

nohup java -jar bookdarak/build/libs/bookdarak-0.0.1-SNAPSHOT.jar &

서버의 로그가 nohup.out 파일에 담긴다.

 

jar 파일이 잘 돌아가는지 확인해보자.

ps aux | grep java

 

 

 

서버 종료하기

nohup 파일을 삭제한다.

rm nohup.out

 

background에서 돌아가는 jar 파일을 확인한다.

프로그램 번호로 jar 파일의 실행을 종료시킨다.

#돌아가는 프로그램 번호 확인
ps aux | grep java

#kill -9 프로그램 번호
kill -9 6885

 

Comments